12
16

-행렬의 상등, 덧셈, 스칼라 곱셈, 뺄셈

행렬의 상등 : 두 행렬의 행수와 열수가 같음

행렬의 덧셈 : 행수와 열수가 같은 행렬 들만 덧셈 가능하다.

행렬의 스칼라 곱셈 : 모든 성분에 그 스칼라를 곱셈함

행렬의 뺄셈 : 곱셈과 행렬 덧셈으로 정의함

 

-행렬 곱셈

행렬의 곱셈은 교환 법칙이 성립하지 않음 AB의 곱이 정의되려면

A의 열 수가 B의 행수와 일치해야 함 2X3 * 3X2 내항 일치라고 함 

행렬의 곱은 내적의 연속이다.

고로 2차원 벡터와 3차원 벡터의 내적을 취할 수 없다.

 

-행렬의 전치 transpose

주어진 행렬의 행들과 열들을 맞바꾼것을 의미한다.

T로 표시한다. 다음과 같은 유용한 속성이 있음

(AB)T = BT*AT 세번째 성질을 보면 곱셈은 순서가 바뀐다.

 

-단위행렬 identity 

10       100       1000

01       010       0100

          001       0010

                      0001

단위행렬은 대각선 1 나머지 0인 정방 행렬이다.

1의 행렬 버전, 곱해도 행렬이 변하지 않음 

 

-역행렬 inverse 

오직 정방 행렬만이 역행렬을 가지지만 모든 정방 행렬이 역행렬을 가지는 건 아님

역행렬이 있는 행렬을 가리켜 가역 행렬이라고 부르고 없으면 특이 행렬이라고

 

A형렬이 직교행렬이면 A의 역행렬은 A의 전치행렬과 같다.

대부분의 DirectX는 직교행렬을 쓰기 때문에

역행렬대신에 전치행렬을 쓰기도한다.

 

역행렬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A의 역행렬은 A행렬식분의 A 수반행렬

detA는 행렬식이다. A*는 딸림행렬 혹은 수반행렬(adjoint matrix)이다.

최종적으로 공식은 이렇게 된다. 

 

행렬식이 0이면 역행렬이 없다는 뜻이며 행렬식은

역행렬의 유무를 따지는데에 사용한다. 

 

그럼 아래서 부터 행렬식과 딸림행렬(여인수 행렬의 전치)

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행렬식(determinant)

행렬식은 역행렬을 구할 수 있는지 판별하는 식으로

3x3까지는 사러스법칙으로 구할 수 있지만

4x4 이상은  라이프니츠가 만든 소행렬식이나 크레마공식을 사용해야 한다. 

 

-행렬식(determinant) - 소행렬

위 그림을 보면 소행렬은 한 행과 열을 잡아 그 부분을 뺀

나머지가 소행렬이 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모든 행과 열을 잡아 그 부분을 빼서 소행렬식을 계산하면

마이너 행렬을 구할 수있다. 모든 행과 열의 소행렬식 모음집.

 

소행렬 식에 + - + - (짝수면 + 홀수면 -) 부호를 붙인 것을

여인수(confactor)라고 한다.

 

마이너 행렬 -> 여인수 행렬 -> 전치하면 딸림, 수반행렬이된다.

 

아래는 순서대로 행렬의 소행렬 정의를 적용한 2x2, 3x3, 4x4 행렬식이다.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det로 표기함

만약에 3X3 행렬식을 구한다고 하면

위의 행렬식을 보며 반대로 접근하면 된다.

 

소행렬식 계산

A 같은 임의의 행렬이 있다고 했을때

임의의 행 또는 열을 잡아 사용하면 행렬식을 얻을 수 있다.

 

->1행기준

->1열기준

둘다 마찬가지로 20이 나온다.

어디 기준으로 행렬식을 구하든 같은 값이 나오기 때문에

행렬식을 구하는데에는 계산이 편한 행 또는 열 기준으로 구하는게 편하다. 

아무튼 이 행렬은 0이 아니여서

역행렬이 존재한다. 그럼 역행렬을 구해보자.

 

역행렬 도출

COMMENT